붓끝으로 전하는 행복 청년 서예가 이정화

 
 

한 글자씩 마음을 담아 쓴 글씨는 세상에 단 하나뿐인 선물이 되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소중한 사람에게 마음을 전할 때 손편지를 쓰곤 합니다. 고쳐 쓰기가 어려운 붓글씨는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데요. 한 획 한 획, 마음을 담아 이은 선으로 행복을 전하는 청년 서예가 이정화님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서예, 나를 위로하는 가장 좋은 방법

 

학교 수업 시간에 한 번쯤 붓글씨를 연습해본 경험이 있으실 텐데요. 이정화 서예가는 학교에 들어가기 전인 7살 때부터 붓과 아주 가까이 지냈습니다. 서예가이신 아버지와 서실을 운영하던 어머니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서예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는데요. 아버지께서는 같은 예술가의 길을 걸어간다는 것이, 여러가지 부담이 될까 걱정하시기도 하셨습니다. 하지만 이내 이정화 서예가가 서예를 통해 행복을 느끼며 즐기는 모습을 보시고는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합니다.

 

처음 붓글씨에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던 7살 당시의 모습

 

“서예가 가지고 있는 고리타분함과 진부함, 이런 부분들을 깨는 사람이 되고 싶었어요. 제가 느끼는 서예는 자연스럽고, 흥미롭고, 다이나믹한 감성이 필요한 예술이거든요. 그런 서예의 매력에 흠뻑 젖어, 이를 많은 이들에게 알리는 사람이 되고 싶었습니다.”

 

붓글씨 말고도 평소 일기를 자주 쓴다는 이정화 서예가는 자신이 쓴 일기 중 많은 사람들과 공감할 수 있는 문장을 골라 작품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작업 활동 외에도 주변 사람에게 축하할 일이 생기면 붓을 들어 마음을 전하기도 하는데요. 정성을 들여 쓴 글씨가 그 어느 것보다도 마음을 가장 잘 담을 수 있는 선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아버지 서실에서 대회를 준비 중인 이정화 서예가

 

“서예의 매력은 붓에서 태어나는 글자들을 보면서 스스로 마음을 다잡을 수 있다는 것 같아요. 한번 새겨지면 지워지지 않는 수많은 기억들처럼, 서예 역시 종이 위에 그려지면 지우개로 지울 수도 없으니 평생 남아있거든요. 새겨지는 글씨를 보면서 힘을 얻기도 하고, 마음을 다잡기도 해요. 내가 나를 위로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 서예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정화 서예가의 첫 개인전 <덕분에-줄탁동시>에서 관객들에게 작품을 설명하는 모습1

 

흔히 서예를 획의 예술이라고 하는데요. 쉽게 고쳐 쓸 수 없고 손 힘의 강약 조절과 선의 흐름들이 모두 화선지 위에 그대로 새겨지기 때문입니다. 이정화 서예가는 그런 과정이 있기에 서예를 통해 마음을 단련하고 정신을 집중할 수 있는 거라 말합니다.

 

이정화 서예가의 첫 개인전 <덕분에-줄탁동시>에서 관객들에게 작품을 설명 하는 모습2

 

“제게 서예를 배우는 분들이 계시는데요. 그 중 한 분이 좋아하는 주변 사람들에게 멋진 선물을 해주고 싶어서 글씨를 배우기 시작했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리고 며칠 전에는 여러 번 연습해서 완성한 결과물을 선물로 드렸다고 하더라고요. 그런 이야기를 들을 때 제 작품을 사람들이 좋아해준 것 만큼, 아니 그보다 조금 더 큰 행복을 느꼈어요. 마치 촛불이 또 다른 초를 찾아 세상을 포근히 안아주는 기분이었습니다.”

 
 
 

서예의 매력을 알리기 위해 바다를 건너다

 

이정화 서예가는 ‘아리랑 유랑단’의 서예단원으로 활동하기도 했습니다. ‘아리랑 유랑단’은 전 세계 16개국 30개 도시를 돌며 국악, 서예, 한국 무용 등을 통해 문화 외교 활동을 하는 민간 단체인데요. 국악 연주자 옆에서 서예를 하며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를 알리는 퍼포먼스를 했습니다. 처음엔 단순히 세계일주를 하며 서예를 알리면 좋겠다는 생각이었지만, 막상 떠날 시간이 다가오자 강한 책임감이 들어 스스로 ‘서예 국가대표’라는 마음가짐으로 임했다고 합니다.

 

아리랑 유랑단으로 활동할 당시의 모습

 

“단순히 놀러 가는 것이 아니라 ‘서예’와 ‘아리랑’을 가지고 떠나는 일정이었으니까요. 마음 속으로 나는 서예 국가대표다. 라는 생각으로 제가 보는 모든 것을 서예와 예술에 접목시키면서 4개월을 보냈어요. 서예를 접한 외국인들은 매우 신기하다는 반응이었어요. 날카로운 펜촉만 사용하다가 이렇게 부드러운 펜의 표현은 처음이라고 하기도 했고, ‘BLACK’과 ‘WHITE’ 뿐인 서예가 이렇게 멋있는지 몰랐다는 이야기도 기억에 남습니다.”
 

이정화 서예가는 서예와 자신이 떨어질 수 없는 사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늘이 내려준 것처럼 자연스럽게 잡기 시작했던 붓이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가족과 같은 존재가 되었다고 하는데요. 물론 오랜 시간 많은 인내와 집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어려울 때도 있지만, 또다시 그로 인해 행복을 얻으니 그 자체만으로도 강한 힘이 되어주는 존재라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서는 서예의 진짜 모습을 알려주기 위해 노력한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어요. 그리고 제 작품을 후대 사람들이 보면서 ‘이 시대는 사랑이 가득한 곳이었구나.’ 라는 이야기가 나왔으면 해요. 서예에서 글은 대부분을 차지하기에, 사람들이 작가의 의도를 가장 덜 오해하는 예술이에요. 그렇기에 신중하게 작업을 해야 합니다. 사랑이 가득한 곳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수 있게 세상을 사랑스러운 눈으로 바라보고 전하는 사람이 되고 싶어요.”
 

손으로 직접 쓴 글씨를 주고 받는 일을 찾아보기 어려운 시대에서, 이정화 서예가는 서예의 진짜 모습을 대중들에게 알리며 자신만의 길을 걸어가고있습니다. ‘어느 곳에 있던, 무엇을 하던 사랑을 품고 행복을 나눠주라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이정화 서예가의 호 ‘인중(仁中)’처럼, 앞으로 오래도록 붓을 통해 더 많은 행복을 써내려 갈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더보기
밴드 ur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