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복명언] 시작하게 만드는 힘과 계속하게 만드는 힘
시작하게 만드는 힘은 ‘동기’이지만 계속하게 만드는 힘은 ‘습관’이다. – Jim Rohn 2020년이 가고 2021년이 왔습니다. 우리는 새해를 맞이할 때 늘 목표를 세웁니다. 그리고 명확한 동기를 찾아 목표를 이루기 위한 행동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어느 시점이 되면 그 목표들은 점점 희미해져 갑니다. 작심삼일, 작심한달의 위기에 빠지는 일은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본 일이죠. 동기 부여와 […]
2021/01/05 -
[행복론] [행복론] 나의 행복을 위한 사치, 자원봉사
자원봉사는 스스로 나서서 타인에게 보탬이 되는 일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요즘 청소년들이 하는 자원봉사는 점수를 따기 위한 것도 포함되어 있어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원봉사와는 약간 거리가 있어 보인다. 사실 자원봉사란 자발적인 마음에서 나오는 봉사활동으로, 하면 할수록 즐겁고 유쾌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일까? 자원봉사의 맛을 본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자원봉사를 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시간을 투자하고, 몸을 던지고 […]
2015/11/17 -
[신입라이프] [신입라이프] 뭐든지 끝까지 해내는 열정 인재! SK케미칼 김민석 주임연구원
초콜릿을 만드는 것과 같다고 봐요. 화이트 초콜릿과 다크 초콜릿을 섞어서 달콤한 맛의 밀크 초콜릿이 탄생되고 고소한 맛을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아몬드를 넣은 아몬드 초콜릿이 탄생 되고… 저 또한 마찬가지예요. 기본적인 플라스틱 소재에 딸기맛, 초코맛 같은 첨가제를 넣고 섞는 과정을 통해 새로운 플라스틱을 만드는 연구를 하는 것이죠. 쌍꺼풀이 짙은 똘망똘망한 눈망울에서 뿜어져 나오는 반짝이는 열정. 그를 […]
2015/01/09 -
[SK인 톡톡톡] [SK인 톡톡톡] 회사 생활에 힘이 되는 ‘회사 절친’이 있나요?
‘절친한 친구 세 명을 가졌다면 성공한 인생’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러나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생활을 시작하면, 마음을 터놓고 얘기할 수 있는 ‘절친한 친구’(이하 ‘절친’)를 사귀기가 쉽지 않다고들 합니다. 그런데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최근에는 이 말이 무색할 정도로 직장인들 사이에 ‘오피스 패밀리’ 문화가 널리 퍼지고 있거든요. 멘토를 자처하는 ‘오피스 맘&대디’, 업무적인 도움을 받으면서 정서적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
2014/10/16 -
[행복론] [행복론] 행복하게 일하는 비밀, 보상보다 동기를 찾아라
요리가 좋아서 요리사가 됐는데 이젠 요리가 싫어졌습니다. 블로그가 좋아서 블로그 전문 회사에 취업했는데 이젠 블로그가 싫어졌어요. 꽃이 좋아서 꽃집 열었는데 이젠 꽃 만지는 일이 싫어지네요. 좋아하는 일은 직업으로 만들지 말라고 합니다. 좋아하는 일도 하고 돈도 벌 수 있으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텐데 그렇게 하지 말라고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아무리 좋아하는 일도 직업이 되면 싫어지기 […]
2014/03/26 -
[행복론] [행복론] 지금 하는 일을 좋아하려면? ‘재미’라는 동기를 부여하라
무한 상사 영업관리부에는 학벌도 같고, 나이도 같고, 직급도 같은 노 대리와 하 대리가 있습니다. 다른 점이라면, 노 대리의 영업 관리 능력은 사내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현장에서 불만이 많았던 영업 사원들도 노 대리의 전화 한 통이면 ‘불만 그까이거!’ 하고 넘어가곤 하죠. 덕분에 회사의 영업 조직은 점점 탄탄해져 갑니다. 반면, 하 대리는 그런 노 […]
2012/10/29 -
[행복론] [행복론] 안도감? 행복? 어떤 것을 원하시나요?
영철 씨는 이제 갓 회사에 입사한 직장 새내기입니다. 아직 회사 업무에 익숙하지 않아 실수투성이에요. 과장님에게 업무 보고서를 제출이라도 할라치면, 가슴이 콩닥콩닥하면서 책잡힐 일은 없는지 머릿속이 하얘지기 십상입니다. 영철 씨는 과장님이 시키는 일을 열심히는 하지만, 그 일을 잘 처리해서 칭찬을 들어야겠다는 생각보다는 ‘어떻게 해야 꾸지람을 듣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먼저 합니다. 일을 잘 처리하면 ‘오늘도 무사히…’ 하고 […]
201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