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론] 감정이 전염된다? 남을 따라하게 만드는 거울 뉴런

옆 사람이 입을 쩍 벌리고 하품을 합니다. ‘뭐야, 저게…’ 라고 끌끌 혀를 차지만 어느 틈에 나도 따라서 하품하고 있었습니다. 민망한 마음에 입을 가려보지만, 저쪽에서 누군가가 이미 나를 쳐다보고 좀 전에 나처럼 끌끌 혀를 차고 있습니다. ‘내 탓이 아니야, 하품은 전염되는 거야’ 하고 속으로 외쳐보지만, 내 품위는 이미 떨어졌습니다. 나를 보고 혀를 차던 사람이 하품하기를 기다리는 수밖에요.

하품만 전염되는 건 아닙니다. 웃음도 전염되고, 기분도 전염되고 당연히 행복도 전염됩니다(환절기, 감기 말고 행복을 전염시켜 볼까요). 하품은 산소가 부족해서 일어나는 것이고, 감정은 서로 영향을 받아 사는 인간의 특성 때문에 전염된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이런 전염 현상이 인간 뇌의 특별한 요소 때문에 생긴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행동과 표정, 감정까지 전달하는 거울 뉴런

스웨덴 웁살라(Uppsala) 대학 심리학과 울프 딤베리(Ulf Dimberg) 교수 연구팀은 사람의 얼굴 근육이 의식에 따라 저절로 조절된다는 가설을 세우고, 보이는 정보에 따라 얼굴 근육이 어떻게 변하는지 조사했습니다. 실험 참가자들의 얼굴에 근육 움직임을 분석할 수 있는 장치를 달고 다양한 표정의 사진을 0.5초 동안 보여준 것입니다.

웃는 사진을 보면 웃음과 관련된 광대 근육이 움직인다는 거울 뉴런

짧은 시간 스치듯이 봤을 뿐인데, 실험 참가자들의 얼굴 근육은 사진 속 표정에 따라 비슷한 형태로 움직였습니다. 웃는 사진을 봤을 땐 웃음과 관련한 광대 근육이, 화난 사진을 봤을 땐 얼굴을 찡그리는 데 필요한 눈썹 근육이 움직인 것입니다.

표정만 움직인 것이 아닙니다. 또 다른 실험에서 실험 참가자들의 뇌를 영상으로 찍었더니 사진으로 본 감정이 뇌에서도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행복한 사진을 보면 행복한 감정이, 슬픈 사진을 보면 슬픈 감정이 증가한 것입니다. 이 실험은 인간의 뇌에는 상대방의 모습이나 표정, 행동을 따라 하며 그와 함께 감정 반응까지 일으키는 신경세포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 그리고 과학자들은 그 세포를 ‘거울 뉴런(Mirror Neurons)’이라고 부릅니다.

거울에 비친 내 모습은 어떠한가

거울 뉴런은 1996년 이탈리아 파르마 대학의 지아코모 리졸라티(Giacomo Rizzolatti) 교수팀이 짧은꼬리원숭이의 뇌로 실험하던 중 원숭이가 사람의 특정 행동을 따라 할 때 반응하는 신경 세포를 찾아내면서 그 존재를 드러냈습니다. 원래 이 세포는 눈이나 귀로 입수한 정보를 이해하고 다음 행동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데, 정보를 관찰하고 이해하려다 보니 자연스레 따라하는 동작을 만들어냈다고 합니다.

표정과 동작, 감정까지 공감할 수 있는 거울 뉴런

즉 어떤 사람이 움직일 때 그 움직임을 보고 ‘아, 움직이는구나’ 라고 이해하면서 동시에 움직임을 따라 한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이 거울 뉴런은 동작뿐 아니라 감정까지도 공감하게 합니다. 우리가 누군가의 슬픔에 공감하고, 누군가와 함께 화내는 것도 거울 뉴런 때문이라는 것이죠. 반대로 어떤 사람의 행동이 정말 마음에 들지 않아서 그 사람과 반대로 행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 역시 거울 뉴런의 역할입니다. 마치 거울에 비친 모습을 보고 ‘아, 난 절대로 저렇게 하지 말아야지’, 하고 마음먹는 것과 비슷한 경우입니다.

좀 다른 뜻이긴 하지만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라고 합니다. 아이들의 모습은 어른을 그대로 따라 한 결과라는 얘기일 텐데요, 거울 뉴런의 존재를 생각하면 딱 맞는 말일 겁니다. 어디 아이들뿐일까요. 거울 뉴런을 가진 우리 모두는 다른 사람에게 ‘거울’입니다. 나 한 사람의 행복이 거울처럼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고 또 다른 사람에게 퍼져간다면, 오늘 일부러라도 웃어 보이는 게 이 세상을 행복하게 만드는 방법 아닐까요?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더보기
밴드 ur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