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하이닉스 인수로 더 강력해진 수출동력

 
SK그룹이 ICT 기반의 수출 엔진을 하나 더 장착하면서 글로벌 체질이 한층 강화됐습니다.
 
올해로 창립 64주년(1953년 4월8일 창립)과 SK하이닉스 편입 5주년을 맞은 SK그룹이 ‘에너지∙화학’ 중심에 더해 ‘ICT’ 날개까지 추가하면서 신(新)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습니다. 특히 ICT 계열사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SK그룹이 수출기업으로 자리잡는데 중심 역할을 하고 있는데요.
 
SK그룹 내 ICT 계열사(SK텔레콤, SK하이닉스, SK㈜ C&C, SK플래닛)는 매출 37.4조원과 수출 17조원의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SK하이닉스 편입 이전인 2011년 ICT 계열사 매출(17.6조원) 보다는 2.1배 늘었고, 2011년 수출(1300억원) 보다는 무려 127배 증가했는데요.
 

SK그룹 ICT 계열사 매출 및 수출 추이

 
SK그룹 SK하이닉스 인수로 강력한 ICT 수출동력을 확보한 것이죠. 전문가들은 SK그룹이 에너지∙화학 중심의 수출동력에 ICT가 추가돼 훨씬 안정적이고 견고한 수출그룹으로 탈바꿈했다고 평가하고 있는데요.
 
SK하이닉스 편입 이후 ICT 계열사들의 성장세도 눈에 띄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 편입 첫 해인 2012년 9.5조원이었던 ICT 계열사 수출이 2014년 16.2조원, 2016년 17조원으로 꾸준히 늘고 있죠. 이는 단순히 SK하이닉스 수출만 더해진 것이 아니라 ICT 계열사 전체가 꾸준히 성장해왔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그동안 내수기업으로 분류됐던 SK㈜ C&C의 경우 2016년 7600억원을 수출해 5년 전 보다 7배 가까이 성장했습니다. ICT 계열사의 그룹 내 전체 수출 비중이 30%에 달하는 것도 SK하이닉스 이외의 ICT 계열사들이 글로벌 성장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지난 2004년 최태원 회장은 그룹 회장을 맡은 이후 에너지∙화학 중심의 비즈니스 만으로는 성장이 정체하다 고사(枯死)하는 슬로우 데스(Slow Death)에 직면할 수 있다면서 새로운 성장동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는데요. 이후 매물로 나와있던 하이닉스에 주목한 뒤 주변의 반대에도 하이닉스를 전격적으로 인수했습니다. 하이닉스의 미래 가치를 알아보고 적절한 시기에 승부수를 던진 것인데요.
 
SK그룹은 SK하이닉스 인수 이후 과감한 투자와 기술개발을 앞세워 SK와 국가 산업의 중심축이 될 수 있도록 성장시켰습니다.
 
SK하이닉스는 2011년 8340억원(매출액 대비 8%)에 불과하던 연구개발비를 2016년 2조967억원(매출액 대비 12%)까지 늘렸는데요. 또한 메모리반도체 주도권을 지키기 위해 올해 사상 최대 7조원을 투자하기로 했습니다. SK에 편입되기 전 투자금(3.5조원)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난 금액이죠.
 
최근 SK는 반도체뿐만 아니라 그룹의 ICT 계열사간 4차산업형 사업 모델을 경쟁적으로 출시하면서 포스트 반도체 시대를 대비하고 있는데요.
 
SK텔레콤은 인공지능(AI) 사업에 주력하기 위해 이달 초 CEO 직속 AI사업단을 독립조직으로 출범시켰습니다. 또한 5G와 IoT(사물인터넷) 기술을 자율주행차에 적용한 커넥티드카, 차세대 보안 솔루션 ‘양자암호통신’, 스마트홈 등 전통 통신 영역에만 국한하지 않는 융합형 ICT 서비스 개발에 매진하고 있죠.
 
SK주식회사 C&C는 IBM 왓슨 기반의 인공지능 에이브릴을 중심으로 국내 의료 분야에 진출한 데 이어, IoT부터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한 핵심 기술 기반을 모두 갖추고 4차 산업 혁명을 이끌 대표 서비스를 개발중입니다.
 
SK그룹 내 에너지∙화학 계열사(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루브리컨츠, SK종합화학, SK케미칼, SKC)는 지난해 불황 속에서도 매출 51.3조원, 수출 30.2조원을 달성, 수출비중 60%를 달성했습니다. 유가 급락과 수요 위축 등의 환경 속에서도 지난 2012년 이후 60% 이상 수출비중을 유지해온 것이죠.
 
특히 에너지∙화학 계열사들은 해외 대표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구축한 뒤 자원협력, 기술협력, 마케팅협력 등의 방식으로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파트너링(Global Partnering) 전략을 앞세워 글로벌 영토를 확대해오고 있는데요. 중국 시노펙(SINOPEC)과의 우한 프로젝트를 비롯해 사우디 사빅(SABIC), 스페인 렙솔(Repsol), 일본 JX에너지 등과 석유화학∙윤활기유 합작사업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 SK 바이오팜은 올해 말 미국에서 뇌전증과 수면장애 치료제 분야 신약승인을 신청할 예정이어서 바이오·제약 분야의 글로벌 도약도 예상됩니다.
 
한편 SK그룹의 2016년 에너지∙화학과 ICT 등 전체 수출액은 524억 달러로 집계됐는데요.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이 4954억 달러(한국무역협회 집계)인 점을 감안하면 SK그룹은 대한민국 수출의 11%를 담당하고 있는 셈입니다. SK하이닉스 인수 이전 6~7%에 불과한 SK그룹의 대한민국 수출 기여도도 2배 가까이 늘어났죠. SK하이닉스 인수 이후 5년간 SK그룹의 누적 수출액도 3180억 달러에 달합니다.
 
SK그룹은 SK하이닉스 인수 이후 지난 5년간 한국 전체 수출의 10% 이상을 꾸준히 담당했는데요. 그룹 창립 이후 64년간의 패기와 지성을 바탕으로 기업시민으로서의 역할은 물론 수출 드라이브를 통해 국가경제에도 적극 기여해 나갈 계획입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더보기
밴드 ur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