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경영’을 위한 기업의 노력

 
글. 김정남 삼정KPMG 전략컨설팅그룹 ESG & Strategy 부문 상무 / 임두빈 삼정KPMG 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
 
 

코로나19 위기는 기업의 가치를 판단하는데 본질적인 변화를 일으켰습니다. 이제 ESG는 ‘실천하면 좋은 부수적인 가치’가 아닌 ‘생존과 직결된 필수 가치’가 됐습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기업이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경영 체계를 ESG 중심으로 재설계해야 합니다. 김정남 상무님(삼정KPMG 전략컨설팅그룹 ESG & Strategy 부문), 임두빈 수석연구원님(삼정KPMG 경제연구원)과 ESG 경영체계를 구축하고 전략 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기업이 고려해야 할 5가지 핵심 안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속가능경영 실천을 위해 기업이 가져야 할 자세

 

플라스틱 홍수, 기후 변화, 코로나19 등 인류는 환경에 대한 무심함이 결국 자신을 파괴한다는 것을 깨닫게 됐습니다. 인류는 과거의 성장 방식에서 벗어나 지속가능한 환경을 만들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은 ESG 중심 체계로의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기업도 마찬가지입니다. 재무적 이익만 추구하는 기업은 코로나19 이후 찾아온 새로운 환경에서 살아남기 어렵습니다. 선도적인 기업은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위해 환경을 보호하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등 비재무적 가치를 중시하는 ESG 경영 전략을 수립 및 실행하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기업은 어떻게 ESG 경영을 실천해야 할까요? 먼저 기업의 경영체계를 ESG 기준에 맞춰 재정립해야 합니다. 즉, ESG에 대한 기업의 비전과 목표가 먼저 설계돼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 전략과제 도출을 위한 핵심 사안을 검토해야 합니다. ESG 경영 5대 사안으로는 ▲규제 ▲Financing ▲M&A ▲기술 ▲기업 보고(Corporate Reporting)를 꼽을 수 있으며, 기업은 이에 대한 대응과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먼저 규제 측면에서 살펴보면, 각국 정부는 ESG에 대한 권고를 넘어 관련 규제와 정책을 적극적으로 제도화하고 있는데요. EU는 2024년부터 기업을 대상으로 환경/인권보호 실사 의무화를 추진할 예정이며, 미국도 ESG 관련 수입 규제를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도 2025년부터 ESG 정보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등 ESG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Financing 측면도 ESG가 자금 조달 및 투자의 기준점으로 대두되고 있는데요. 네덜란드의 ING, 프랑스의 BNP파리바(BNP PARIBAS) 등 글로벌 대형 은행 중심으로 지속가능연계대출이 증가하고 있고, 국내 주요 은행도 ESG 요소 도입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블랙록(BLACKROCK), 뱅가드(Vanguard), SSGA 등 글로벌 자산운용사와 연기금은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ESG 요소를 강화하는 중입니다. 우리나라의 국민연금도 2022년 전체 기금의 50%를 ESG 기반으로 운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또한 M&A ‘딜 소싱(Deal sourcing, 투자처 발굴)’과 밸류에이션(Valuation, 기업가치평가) 과정에서도 ESG가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최근 전기차 소재, 폐기물 처리 등 ‘환경’ 테마에서 대형 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0년 거래액 5,000억 원 이상의 국내 대형 M&A 중 40% 이상이 ESG 관련 M&A인 것으로 파악되는데요. ESG 선도 기업들은 딜 소싱 시 환경오염 유발, 사회갈등 조장, 경영진의 비리 등에 대한 기업 스크리닝을 강화하고 있으며, 반환경적, 반윤리적, 비인도적 사업에 대한 매각도 검토하는 중이라고 합니다.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의 시작

 

글로벌 기업들은 제4차 산업혁명 관련 신기술에 ESG 요소를 접목, 기업이 직면한 비즈니스 혁신 및 사회ᆞ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구글은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개발(Advancing AI for Everyone)’이라는 슬로건 아래에 AI를 통한 삶의 질 향상과 인류가 직면한 난제 해결에 힘쓰고 있는데요. 애플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모든 부품을 데이지(Daisy)라는 로봇을 통해 원재료부터 하드웨어 부품까지 모두 재활용하겠다는 목표를 수립, 순환경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 중입니다.
 

 
기업 보고 시에도 ESG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KPMG가 전 세계 52개국 5,200개 기업의 기업 보고 동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국가별 매출 상위 100개 기업의 80%가 지속가능성 보고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 보고율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ESG 등 지속가능성 정보를 제3자로부터 인증받는 기업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업은 ESG 정보공시를 통해 자사의 경제, 환경, 사회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수 있고 평가기관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ESG 경영은 리스크 관리를 넘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성장 동력으로 주목됩니다. ESG 친화적인 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는 고객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이는 기업의 투자 확대, 자본조달 비용 감소, 기업 이미지 개선으로 연결돼 기업가치 제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업은 이제 ESG를 사회와 이해관계자의 요구에 따라 수동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아닌, 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선택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입니다. 현재 많은 글로벌 기업이 ESG 경영 실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SK도 ESG경영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 혁신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는데요. RE100(Renewable Energy 100%)에 가입하고, 수소생태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는 등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실행에 옮기고 있습니다. ESG경영을 위해 앞으로 나아갈 SK를 응원합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더보기
밴드 ur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