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SK가 든든하게 지원합니다!

 

월드 스타 BTS, 오징어 게임의 주역 이정재, SK까지! 이들의 공통점이 무엇인 지 알고 계신가요? 바로 ‘2030 부산 엑스포 유치에 진심이라는 점입니다. 2030 부산엑스포 민간부문 유치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태원 회장을 필두로 SK의 전 구성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유치를 기원하고 있는 2030 부산 엑스포의 모든 것! SK 공식 유튜브에 공개된 두 개의 영상을 통해 함께 살펴보시죠.

 

 

 

EXPO, 인류 문명을 조명하는 경제·문화 올림픽

 

 

지난 9월 SK 유튜브에 업로드된 영상 ‘SK와 함께 살펴보는 2030 부산 엑스포에 대한 모든 것!’은 엑스포의 의미부터 위상까지, 그간 엑스포에 대해 궁금했던 부분들을 속 시원하게 풀어주었는데요.

 

 

BIE(Bureau International des Expositions, 국제박람회기구)에서 주관하는 엑스포 (Exposition International, 세계박람회/EXPO)는 인류가 이룩한 업적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한 자리에서 전시하고, 해결 대안과 비전을 제시하는 경제·문화 올림픽입니다. 엑스포에 참가하는 각 국가는 자신의 국가 전시관에 과학, 기술, 문화를 소개하고, 새로운 인류 문명의 발전을 보여줄 수 있죠.

 

 

엑스포는 주제, 개최 주기, 기간 등에 따라 인정 엑스포와 등록 엑스포로 나뉘는데요. 1993 대전 엑스포와 2012 여수 엑스포는 인정 엑스포이고, 이번 2030 부산 엑스포는 등록 엑스포입니다. 등록 엑스포는 0과 5로 끝나는 해에 광범위한 주제로 6개월간 열리고, 인정 엑스포는 등록 엑스포 사이에 명확한 주제로 3개월간 열립니다. 등록 엑스포가 규모가 더 큰 행사이자 위상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엑스포의 경제적 효과를 월드컵, 올림픽에 비교하면 월드컵은 1개월, 올림픽은 16일에 열리는 데 비해 엑스포는 6개월로 매우 길기 때문에 파급 효과가 매우 큽니다. 올림픽과 월드컵의 관람객과 경제적 효과는 평균 300만 명, 12조 원대로 알려져 있는데요. 2030 부산 엑스포 기대효과(산업연구원 자료, 2019)는 생산 유발 효과 43조 원, 부가가치 유발 효과 18조 원, 일자리 창출 54만 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유치된 엑스포를 보면 더욱 확연히 알 수 있죠. 2010 중국 상하이 엑스포는 110조 원, 2015 이탈리아 밀라노 엑스포는 63조 원의 경제 효과를 거둬들였습니다.

 

그렇다면 엑스포 유치 경쟁국과 선정 절차는 어떻게 될까요? 우선 2030 엑스포 유치 경쟁국은 이탈리아 로마,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우크라이나 오데사입니다. 유치 후보 도시들은 BIE의 상반기, 하반기 총회에서 엑스포 개최 계획에 대한 PT 발표를 하는데요. PT 발표 이후, 대외적으로 170개 회원국 접촉을 통한 심포지엄, 포럼 등의 다양한 교섭 활동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2023년 11월 BIE 총회에서 회원국의 비밀 투표로 개최국을 결정합니다.

 

만약 2030 부산 엑스포 개최가 확정된다면 대한민국 최초로 등록엑스포가 개최되는 것이고, 세계에서는 12번째로 엑스포를 개최한 국가가 됩니다. 월드컵, 올림픽, 엑스포라는 3개의 세계 축제를 모두 유치한 세계 7번째 국가가 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왜 2030 월드 엑스포는 왜 부산에서 개최되어야 할까요?

 

 

 

부산의 매력을 듬뿍 담은, 나(SK)만 아는 이야기 ‘오이소 부산’

 

 

SK 유튜브 ‘나(SK)만 아는 이야기’ 코너를 통해 공개한 ‘오이소 부산’ 영상에서는 엑스포 개최 후보지 부산의 다양한 매력에 주목했습니다. 현대와 전통의 아름다움이 공존하는 부산의 다양한 모습을 생생하게 소개했는데요.

 

 

해운대, 해동용궁사, 남포동 일대 등 영상 속에 소개된 부산 대표 관광지의 모습들! 2030 엑스포가 왜 부산에서 열려야 하는 지 충분히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아름답습니다. 부산을 찾은 외국인들 역시 입을 모아 매력적인 도시 부산에서의 엑스포 유치를 기원하고 있습니다.

 

 

부산에 대한 애정이 듬뿍 담긴 부산 시민들과 관광객들이 직접 소개한 ‘부산에서 엑스포가 개최되어야 하는 이유’에 대한 인터뷰도 인상 깊습니다.

 

 

나. 만. 아 영상을 통해 소개된 부산은 대한민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담은 상징적인 도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부산항은 근대화의 무역 중심지로 한국 산업화를 견인했던 곳이죠. 무엇보다 부산은 입지 면에서도 우수한데요. 뛰어난 지리학적 위치로 컨테이너 물동량 세계 6위 항만 도시로 성장했습니다. 물류가 드나드는 세계적인 항구 도시이기 때문에 항공, KTX 등 교통이 편리하죠. 또 하나의 강점으로 부산은 부산 아시안 게임과 APEC 정상 회의 등 대형 국제행사 개최로 경험이 매우 많기 때문에 벡스코 등 컨벤션 시설 및 호텔 등 다양한 인프라가 발전되어 있습니다.

 

 

몇 년 사이에 부산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어난 이유도 많은 관광 명소로 풍부한 볼거리와 먹거리가 많기 때문이 아닐까요? 외국인이 보아도 매력적인 도시 부산에서 2030 엑스포가 개최된다면 새로운 역사의 시작점이 될 수 있습니다.

 

SK가 2030 부산 엑스포 개최를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꼼꼼히 살펴보겠습니다.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한 SK의 노력

 

 

정부와 민간이 함께 만든 민관 합동 부산 엑스포 유치 위원회의 공동 유치위원장을 맡은 SK의 최태원 회장! SK는 글로벌 네트워크망을 총동원해 BIE 회원국을 만나 엑스포 유치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2년 6월, SK는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한 SUPEX 추구 협의회 산하에 WE(World EXPO) TF를 신설했습니다. 이 조직은 SUPEX 추구 협의회 조대식 의장이 팀장을 맡으시고, SK 그룹 부회장들이 지역별, 그리고 기능별로 담당을 맡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요. WE TF 활동으로는 정부, 대한상의 및 국내 기업과 함께 BIE 회원국의 정치/경제/사회 제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협업 방식을 모색하고 추진하는 일을 합니다.

 

 

SK SUPEX 추구 협의회 조대식 의장은 남태평양 피지를 방문해 독려하고, SK 주식회사의 장동현 부회장은 크로아티아, 카자흐스탄, 에스토니아, 리투아니아를 방문하여 유럽 등 4개국을 넘나들며 부산 엑스포 유치를 지지했습니다. 또 SK 이노베이션 김준 부회장은 폴란드에 방문했고, SK텔레콤 박정호 부회장은 팔라우 대통령을 면담하고 팔라우 정부의 지지를 요청했죠.

 

SK는 그린 에너지, ICT,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첨단소재, 임업에 이르는 개발도상국부터 선진국까지 다양한 관심을 두는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BIE 회원국의 니즈에 부응하고자 하죠. SK가 추구하고 있는 기업 혁신이나 여러 ESG 활동은 부산 엑스포를 통해서 구현하고자 하는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도전에 대한 솔루션 제공에 선도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데요. 민관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확대할 예정입니다.

 

 

월드 엑스포 TF를 조직한 SK의 최고 경영진들은 글로벌 무대에서 엑스포 유치 활동을 벌이는 등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여 엑스포 유치에 힘쓰고 있는데요. SK 서린 빌딩 입구의 스크린부터 엘리베이터, 명함, 메일 서명까지! SK의 모든 구성원 역시 진심으로 엑스포 유치를 기원하고 있습니다!

 

1988 서울 올림픽, 2002 한일월드컵, 1993 대전엑스포, 2012 여수 엑스포 모두 온 국민의 뜨거운 열기와 성원으로 행사를 개최할 수 있었는데요. 국민 개개인이 2030 부산 엑스포에 관심을 두고, 대한민국의 국가적 위상을 제고하는 계기가 된다는 것을 알고 응원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2030 부산 엑스포 유치를 위해 SK가 여러 방면에서 든든하게 지원하겠습니다.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더보기
밴드 ur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