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의 시선으로 행복을 탐구하다




봄을 맞아 과학기술이 꽃피는 과학의 달, 4월이 찾아왔습니다. 우주여행, 인공지능, 로봇 등 상상에서만 만나던 미래의 모습이 과학을 통해 이제 우리 일상과 밀접해질 수 있었습니다. 이토록 눈부신 발전을 이뤄낸 수많은 과학자들은 두 가지 태도를 가지고 과학에 몰두했습니다. 바로, 과학의 첫걸음인 ‘탐구’와 탐구의 시작 ‘관찰’ 입니다. 평범하게 반복되는 자연현상을 관찰해 규칙을 발견하고 이전과 다른 모습을 찾아내는 것에서 모든 과학이 시작되었죠. 행복을 찾아내는 방법 역시 동일합니다. 매일같이 반복되는 일상을 관찰해 새롭게 움트는 행복을 탐구하고 찾아내는 것, 그것이 바로 행복을 마주하는 방법일 것입니다.

오늘 행복명언에서는 과학의 달 4월을 맞이하여, 탐구와 관찰에 몰두한 과학자들이 어떻게 행복을 찾아냈는지 명언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어쩌면 어린 시절 모두는 한 사람의 과학자였을지도 모릅니다. 세상을 열정적으로 탐구하고 순수한 눈빛으로 관찰했던 어린 과학자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현실의 벽에 부딪히며 내 안의 동심을 잊어버린 채 살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인이 된 이후에도 어렸을 때의 불꽃을 잃지 않고 끝까지 탐구하는 사람도 있죠.

과학자 마리 퀴리도 물리학을 가르치는 교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세상에 대해 눈을 빛내며 탐구하고 관찰하는 어린아이였습니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알려줬을 물리학 이야기에 가졌던 열정 그대로 성장한 마리 퀴리는 가난 때문에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끊임없이 연구를 거듭해 1903년 여성 최초 물리학상을 수상할 수 있었습니다.

마리 퀴리는 과학자를 자연현상에 감명을 받은 어린아이에 비유하며, 그들의 열정을 표현했습니다. 마리 퀴리에게 행복이란 어린아이처럼 맹목적으로 탐구하는 태도가 아니었을까요? 우리도 현실의 제약을 내려놓고, 내가 좋아하는 것과 가슴이 시키는 일을 다시금 떠올려 보는 것은 어떨까요? 호기심과 열정에 가득 찼던 어린 시절의 나처럼, 꿈으로 가득 찬 세상을 만나게 될지도 모르니까요.




과학자들은 숫자로 많은 것을 표현합니다. 아무리 의미 있는 과학적 발견이어도 숫자로 표현할 수 없다면 다른 사람을 명료하게 이해시킬 수 없고, 그 가치 또한 떨어집니다. 그래서일까요? 우리는 나이가 몇 살인지, 소득은 얼마인지 등 셀 수 있는 숫자로 스스로를 설명할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숫자로 셀 수 있는 모든 것들로 나 자신을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내가 주변 사람에게 얼마나 따뜻한 사람인지, 내가 미래를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등은 결코 숫자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천재 과학자라고 불리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평생 숫자에 빠져 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과학을 사랑했지만, 동시에 셀 수 없는 것들의 가치도 알고 있었습니다. 그가 우리에게 남긴 명언은 셀 수 없는 것들 안에 우리의 행복이 숨어있다는 것을 알게 해줍니다. 셀 수 있는 나이나 소득이 때로는 의미가 없을 수도 있고, 셀 수 없는 어떤 것이 우리에게 가장 큰 의미를 가져다 줄 수도 있죠. 빠르게 앞서 달리기 위해 셀 수 있는 무언가에 몰두해 있다면 셀 수 없는 것의 의미를 되돌아보는 것이 어떨까요?










과학은 미래를 향해 일직선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가장 첨단적인 기술을 만들어 내고, 가장 선두의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처럼 보이죠. 하지만 과학도 각자의 속도로, 각자의 방향에 따라 천천히 나아가고 있습니다. 상대성이론을 발표한 아인슈타인과 라듐을 발견한 마리 퀴리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여 우열을 가릴 수 있을까요? 모든 과학자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열정을 다해 나아가고 있을 뿐입니다.

우리의 삶도 일직선을 따라서 걷는 것이 아닌 각자의 자리에서 각 방향으로 천천히 나아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삶은 달리기가 아닌, 한때의 여행인 것입니다. 모두가 그 여행을 행복하게 마칠 수 있도록 세상의 진리를 탐구하고자 노력했던 과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내 삶의 행복을 탐구하는 시간을 가져보길 바랍니다.

행복을 탐구한 과학자들의 명언을 배경화면으로 만나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명언 이미지 다운로드 ▶ (1)
명언 이미지 다운로드 ▶ (2)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더보기
밴드 ur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