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입라이프] 긍정 에너지를 전달하겠습니다 SK C&C 박이삭 매니저
올해 SK C&C에 새롭게 입사한 박이삭 매니저는 클라우드 인프라 직무에서 일하며 좋은 사람들을 만나 크게 성장해가고 있습니다. SK C&C와 함께 발전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박이삭 매니저의 목표는 행복한 사람이 되는 것이라는데요. 하고 싶은 것도, 이루고 싶은 것도 많은 박이삭 매니저의 힘차고 신나는 신입 라이프, 지금 시작합니다. SK C&C에서 나의 꿈을 […]
2021/07/07 -
[행복론] [행복론] 진정한 긍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자칭 긍정적이라는 사람치고 제대로 된 인간을 못 봤어요. 모두 허울 좋은 핑계일 뿐이죠. 여기도 긍정, 저기도 긍정. 난 이제 긍정이 너무 지겨워요! 요즘 상담을 하다 보면 이런 이야기를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긍정을 ‘강조’, 아니 ‘강요’하는 곳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미국의 저널리스트 바버라 에런라이크 역시 자신의 책 <긍정의 배신>을 통해 긍정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밝힌다. […]
2015/12/02 -
[행복론] [행복론] 나의 행복을 위한 사치, 자원봉사
자원봉사는 스스로 나서서 타인에게 보탬이 되는 일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요즘 청소년들이 하는 자원봉사는 점수를 따기 위한 것도 포함되어 있어서 진정한 의미에서의 자원봉사와는 약간 거리가 있어 보인다. 사실 자원봉사란 자발적인 마음에서 나오는 봉사활동으로, 하면 할수록 즐겁고 유쾌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일까? 자원봉사의 맛을 본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자원봉사를 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시간을 투자하고, 몸을 던지고 […]
2015/11/17 -
[행복인터뷰] 어느 날 문득, 운명처럼 내게 다가온 시와 같은 삶. 시인 신현림
시인, 사진가, 화가 등 신현림을 대변하는 수식어는 많다. 이렇듯 다양한 예술가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그녀에게 글쓰기란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어릴 적부터 글쓰기를 좋아했던 신현림은 최근 <신현림의 라이팅 북, 글 쓰고 싶은 날>이라는 책을 발간하며 그간 자신에게 영감을 주었던 시와 그림, 사진들을 한데 묶고 자신의 시도 소담히 담았다. 일종의 자기 생의 중간점검 같은 책이라고 말하는 […]
2015/11/12 -
[행복명언] [행복명언] ‘격려’가 불러오는 기적
옷깃을 잔뜩 세우고 어깨를 움츠린 채 걸을 만큼 날씨가 쌀쌀해진 것을 보니 올해도 어김없이 ‘그 날’이 찾아온 것 같습니다. 바로 며칠 남지 않은 대학수학능력시험 말인데요. 무거운 가방을 짊어 메고 나가 하루 종일 책상 앞에서 씨름하는 학생들! 인생의 첫 고비이자 큰 관문을 앞둔 이들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잘할 수 있다며 어깨를 토닥여주는 격려가 가장 […]
2015/11/09 -
[행복론] [행복론] 긍정의 시작은 언어로부터
긍정의 중요성에 대해 실감하는 이들은 보다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생활하기를 원한다. 하지만 실천이 어렵다고 하는 경우가 많다. 무조건 감사를 하고, 무조건 웃으려니 어색하고 힘들다고 한다. 억지로 긍정의 모양을 취해도 일상으로 돌아오면 부정적 생각과 감정으로 가득 차 있는 자신을 보고, 좌절에 빠진다고 말한다. 어찌 해야 할까? 먼저 언어습관을 점검해 보자 사람의 마음을 치유하는 임상/상담심리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혼잣말(Self-Talk)에 […]
2015/08/19 -
[행복론] [행복론] 잘못된 낙관주의, 때로는 필요한 비관주의
긍정심리학자들은 낙관주의의 영향을 알기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낙관주의는 직장과 학교, 대인관계와 정신건강은 물론 신체건강과 수명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낙관주의의 효과에도 불구하고 선뜻 낙관주의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그 이유는 낙관주의가 가지는 부정적 측면에 주목하고 있거나 낙관주의를 잘못 이해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주변에는 아무런 근거도 없이 무조건 좋게 생각하려고 하는 […]
2015/08/12 -
[행복론] [행복론] 낙관주의로 미래를 긍정하라
낙관주의란? 긍정심리학의 창시자인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은 여러 심리학자들과 함께 낙관주의를 연구하면서 다음과 같은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 낙관적인 사람이 직장에서 성공할 확률이 높다. ◦ 낙관적인 학생이 성적이 좋다. ◦ 낙관적인 운동선수가 승리한다. ◦ 낙관주의자가 비관주의자보다 오래 산다. 어떤 이들은 이런 연구가 인과관계를 명확히 알 수 없는 설문조사에 근거한 것이라면서 폄하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 낙관주의가 원인이 […]
2015/07/29 -
[행복스토리] [행복론] 행복한 인간관계의 첫 걸음, 자존감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관계’다. 사람(人)은 혼자 설 수도, 혼자 살 수도 없다. 시작점부터 그렇다. 사람이 태어나기 위해서는 분명 사람(남자)과 사람(여자)이 필요하다. ‘함께’는 사람의 본질이고, 인간관계는 모든 것의 중심일 수밖에 없다. 직장생활이 힘든 이유도 일이 아닌 사람 때문이고, 학생들이 학교를 떠나는 주요 이유도 공부가 아닌 또래 때문인 경우가 많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건강하고 […]
2015/07/23